닫기

로그인

논문 검색

홈 • 학회지 • 논문 검색

pISSN: 1598-172X

경영컨설팅연구, Vol.22 no.3 (2022)
pp.71~86

- 조직구성원의 메타인지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학습민첩성의 매개효과와 직무자율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권기정

(서울과학종합대학원대학교 경영학 박사과정)

신제구

(서울과학종합대학원대학교 교수)

불확실하고 급변하는 경영환경 변화에서 조직의 경쟁우위와 성과 창출은 구성원의 역량에 달려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팬데믹의 장기화로 악 화되고 있는 경영환경 속에서 조직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메타인지를 조직구성원의 새로운 역량 유형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동시에 학습민첩 성의 매개효과와 직무자율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여 메타인지가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하여 국내 다양한 업종의 300명이상의 기업에 근무하는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수집한 478부의 설문자를 토대 로 SPSS PROCESS Macro 와 AMOS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측정 시기를 분리하는 등 동일방법편의를 극복하고자 하 였으며 직급과 연령, 학력을 통제변수로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조직구성원의 메타인지는 직무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학습민첩성은 메타인지와 직무성과의 관계를 정(+)의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메타인지가 학습민첩성을 경유하여 직무성과가 향상되는 간접효과가 확인되었다. 셋째, 학습민첩성 과 직무성과의 관계에서 직무자율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따라서 학습민첩성과 직무성과의 관계는 직무자율성에 의해 강화되는 것을 확 인하였다. 본 연구는 조직구성원의 메타인지와 직무성과 간 메커니즘과 경계조건을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기존의 구성원 역량에 관한 연구를 확장, 발전에 기여한다. 또한 DeRue et al.(2012)이 제안한 학습민첩성 개념모델을 연구모형에 적용하여 국내 조직구성원을 표본으로 실증한 데 차별 성을 가진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시사점과 더불어 조직 현장에서 필요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연구의 제약점과 향후 후속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The Effect of Metacognition on Job Performanc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Agility and Moderation Effect of Job Autonomy

Kwon, Ki-Jung

Shin, Je-Goo

In an uncertain and rapidly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an organization's competitive advantage and performance creation depend on the capabilities of its employe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metacognition as a new competency type of employees to secure organizational competitiveness in a business environment that is deteriorating due to the prolonged pandemic. At the same time, by examining themediating effect of learning agility and themoderating effect of job autonomy, amechanismthat canmaximize the effectiveness ofmetacognition affecting job performance shall be verified. To test the hypothesis, it has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n office workers working in various industries in Korea and analyzed using SPSS PROCESS Macro and AMOS based on 478 questionnaires collected. To overcome the common method bias by separating the measurement period of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and also the position, age, and educational background were applied as control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employee’smetacogni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performance. Second, learning agility was confirmed to positive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cognition and job performance, and the indirect effect of metacognition improving job performance via learning agilitywas confirmed. Third, themoderating effect of job autonomy wa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agility and job performance.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agility and job performancewas strengthened by job autonomy.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expansion and development of existing research on employee competency by empirically verifying the mechanisms and boundary conditions between metacognition and job performance of employees. In addition, this research has a discriminatory meaning by the empirical approach of ‘Learning Agility Conceptual Model’ proposed by DeRue et al. (2012). It might be very first academic try in Korea to apply the conceptual DeRue’s Model into the real organizational employee as a sample and bring out the empirical result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in the field of organization were presented,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다운로드 (Download) 리스트(List)


닫기

학회소개
인사말
학회임원
연혁
학회정관
사무국안내

학회소식
공지사항
뉴스레터
포토갤러리
학술행사안내

학회지
학회지 검색
논무투고 안내와 양식
논문작성규정
편집위원회 및 내규
연구윤리 규정
온라인논문투고

회원마당
회원가입
회원정보수정
회원동정
ID/PW 찾기
개인정보처리방침

관련사이트
관련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