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컨설팅연구, Vol.24 no.5 (2024)
pp.53~70
- 팔로워십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팔로워의 역할과 태도를 중심으로 -
4차 산업혁명 이후 인적자원은 조직의 핵심 자산으로 부각되었다. 기존의 인적자원 관련 연구는 주로 리더십 중심으로 진행되었으며, 팔로 워십 역량이 리더십 역량과 중복되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리더와 팔로워의 역할이 명확히 구분된 연구가 부족하여, 본 연구는 역할과 태도 영 역의 중요성에 주목하여 팔로워십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팔로워십의 개념을 재정립하고, 문헌 및 기존의 측정도구를 참고하여 예비 문항을 개발하였다. 이후 델파 이 조사를 통해 내용타당도(CVR)를 검증하고 서술형 의견을 수렴하여 안면타당도를 확보한 후, 7개 요인에 대한 50개의 예비 문항을 확정하 였다. 측정도구 검증은 확정된 예비 문항을 바탕으로 전국의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결측지와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나머 지 350부를 활용하여 측정도구의 요인구조와 적절성을 확인하고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문항의 양호도 분석을 통해 9개의 문항이 제거되었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한 개의 구성요인을 포함한 20개의 문항이 추가로 제거되었다. 둘째, 최종적으로 확정된 팔로워십 측정도구는 6개의 요인과 21개의 문항으로 구성되며, 팔로워의 역할은 리더지원 행동, 업무주도 행동, 독립적 행동의 세 가지 요인으로 나뉘었고, 팔로워의 태도는 리더와의 관계, 동료와의 관계, 직무수행 태도의 세 가지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셋째, 측정도구의 구성타당도 검증을 위해 수렴타당도와 변별타당도를 확보하고,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분석에 사용된 표본을 대 상으로 측정동일성을 검증하여 측정도구의 안정성을 확보하였다. 또한 팔로워십 측정도구의 준거타당도 확인을 위해 직무만족, 조직몰입 간 의 연관성을 확인한 결과 팔로워십 측정도구의 준거타당도가 양호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리더와 차별화된 팔로워의 역할을 규명함으로써, 팔로워십을 새로운 관점의 실용적인 도구로 제시하여 향후 연구의 다 양성을 확장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조직구성원들의 팔로워십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되며, 신규 직원들의 팔로워십 역량 평가 도구로서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Development and Validation Study of a Followership Measurement Tool : Focusing on the Roles and Attitudes of Followers
Afte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uman resources have emerged as a core asset of organizations. Existing research related to human resources has primarily focused on leaders, and there has been a limitation in the overlap between followership competencies and leadership competencies. Additionally, there has been a lack of research that clearly distinguishes the roles of leaders and followers. Therefore, this study developed and validated a followership measurement tool tha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roles and attitudes.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the concept of followership was redefined, and preliminary items were developed by referencing literature and existing measurement tools. Subsequently,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o verify content validity (CVR) and gather descriptive feedback, securing face validity, which led to the finalization of 50 preliminary items across seven factors. The validation of the measurement tool involved conducting a survey targeting employees nationwide using the finalized preliminary items, excluding missing data and insincere responses, resulting in the use of 350 valid responses to confirm the factor structure and appropriateness of the measurement tool and to verify its validity.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first, through the analysis of item quality, 9 items were removed, an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 additional 20 items were removed, including one construct factor. Second, the final followership measurement tool consists of six factors and 21 items, where the role of followers is divided into three factors: leader support behavior, task-leading behavior, and independent behavior. The attitudes of followers are categorized into three factors: relationship with the leader, relationship with peers, and job performance attitude. Third, to verify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measurement tool, both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were established, and measurement invariance was verified using the samples employed in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ensuring the st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 Additionally, the criterion validity of the followership measurement tool was demonstrated to be goo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with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measurement tools.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earch findings suggest that a new tool for followership from a role perspective can provide a foundation for expanding the diversity of future research and clarify the differentiated role of followers from leaders, presenting a practical tool in term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